+2023.07.01
유니온 이벤트를 추가, 전체적인 이벤트 분류 방식을 대폭 수정했습니다.
0.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포스트는 모바게의 주 컨텐츠! 이벤트를 달리는 법을 소개하고자 작성했습니다...만, 에리오스의 이벤트 텀이 길어진지 꽤 되기도 했고, 여러가지 방식의 이벤트가 있으며, 대형 업데이트 전에 진행하던 방식의 이벤트 역시 소개해드리나 또 진행해줄지 모르는 상태이므로 경과를 보고 포스트를 계속 수정할 예정입니다. 또한, 기간 한정인 만큼 스크린샷 자료가 부족한 경우도 있어 온전히 포스트가 완성되기까지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1. 이벤트를 달리는 기본적인 방법
에리오스의 이벤트는 기본적으로 [이벤트 퀘스트로 티켓 획득 > 획득한 티켓으로 보스를 토벌] 이런 흐름으로 이어집니다. 퀘스트 내용은 하단에 서술한 트레이드 이벤트를 제외한 모든 이벤트가 같은 형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벤트 퀘스트는 NOMAL HARD EXPERT EXPERT+ 네 가지 난이도에, 각 난이도별 5스테이지씩 총 20스테이지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높을수록 보스 티켓을 많이 드랍합니다.
같은 난이도의 맵 내에서는 가장 마지막에 있는 STAGE 5에서 많은 티켓이 드랍됩니다. (일부 복각 이벤트 제외)
EXPERT+난이도의 맵은 EXPERT 보스를 3번 클리어해야 열 수 있으므로,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벤트 보스도 퀘스트와 같이 NOMAL HARD EXPERT EXPERT+ 네가지 난이도로 분류되며, 난이도가 높을수록 소모해야하는 티켓 수도 많아지지만 보상은 그 이상으로 많이 줍니다.
이벤트 보스는 제한된 턴(NOMAL~EXPERT는 10턴, EXPERT+는 15턴) 내에 보스를 처리해야 합니다. 단, 제한된 턴 내로 HP를 전부 깎지 못했거나(타임 아웃) 히어로가 전멸(퀘스트 실패)했을 경우, 티켓을 더 지불하여 보스의 남은 HP 상태 그대로 다시한번 도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2번 내지는 3번 이내로 잡을 수 있다면 해당 난이도의 보스에 도전하는것이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한번에 잡지 못하더라도 2~3번 내에 성공할 수 있다면 더 높은 난이도에 도전해도 OK!
이벤트 배수는 보스를 잡았을 때나, 이벤트 퀘스트 맵을 클리어 했을 때 획득하는 포인트에만 적용됩니다. (티켓과 공헌장에는 배수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벤트 배수는 어떻게 적용시켜야 할까요? 해당 이벤트에 등장한 이벤트 전용 카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이벤트 별로 배수가 적용되는 방식이 이벤트 형식마다 상이하므로 편성 화면에서 한번씩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포인트/데미지 보너스는 팀 편성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붉은 표시를 한 부분을 통해 해당 히어로/프레임을 편성했을 때 제대로 배수가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이벤트 기간 중 프레임 편성 화면에 진입하면 포인트 배수가 있는 프레임은 따로 포인트 배수 표시가 붙어있으니 확인해가면서 편성하는것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한계돌파 횟수가 높을수록, 레어리티가 높을수록 더 많은 배수를 얻을 수 있으며, 같은 프레임을 중복으로 사용해도 중복 적용이 됩니다.
2. 이벤트의 종류와 각 이벤트의 특징
에리오스의 이벤트는 크게 기간한정으로 진행되는 유니온/스탬프/트레이드/서바이브 4가지 종류와 상시로 진행되는 메모리얼 이벤트 1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비슷한 형식으로 진행되나, 배수나 보상 체계가 조금씩 다르므로 한가지씩 천천히 설명하고자 합니다.(특히 트레이드, 서바이브는 많은 부분이 다르게 진행됩니다.)
1) 유니온 이벤트 (섹터 이벤트)
※해당 내용은 2023년 7월 31일에 개최된 「Dive to Higher」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추후 유니온 이벤트의 등장에 따라 수정할 예정입니다.
2023년 7월 31일 부로 기존의 섹터 이벤트를 리뉴얼해 나온 이벤트입니다. 메인이 되는 한 섹터의 캐릭터 4명이 전부 신규로 등장하며, 다른 이벤트에는 없는 공헌장 교환소가 존재합니다.
공헌장은 이벤트 보스를 처치하면 드랍되는 교환 아이템입니다. 해당 아이템을 모아 교환소에 가면, 육성에 필요한 재화나 이벤트 프레임, 에리오스 메달 등의 재화가 나오는 박스를 열 수 있습니다.(박스는 총 21까지 있으며, 이후에는 무한대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보스의 난이도에 따라 공헌장이 드랍되는 수는 고정되어있으며(NOMAL: 50, HARD: 100, EXPERT 300, EXPERT+:500) 공헌장은 별도로 배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배수 적용에 대해( 유니온 이벤트)
유니온 이벤트에서는 포인트 보상 히어로를 포함한 모든 이벤트 히어로에 데미지 배수가 붙어있으며, 포인트 배수는 별도의 오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히어로들과 공헌장 교환 보상인 3성 프레임만이 적용됩니다.
히어로는 편성하는것만으로도 배수가 적용되며, 프레임은 메인/서브를 막론하고 장착하기만 하면 배수가 적용됩니다.
2) 스탬프 이벤트
2023년 4월 30일 부로 처음으로 추가된 형식의 이벤트입니다. 기본적으로 퀘스트를 통해 티켓 획득>보스를 잡아 포인트 획득이라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배포 히어로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포인트 보상 말고도 스탬프랠리가 추가된 새로운 형식의 이벤트입니다.
스탬프 랠리는 총 3개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있으며, 적혀있는 미션을 전부 클리어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2페이지에는 배포 3성, 3페이지에는 배포 4성 히어로가 보상으로 있습니다.
아더사이드 이벤트와 같이, 가장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티켓이 많이 나오도록 조정되어있습니다.
배수 적용에 대해(스탬프 이벤트)
※해당 내용은 2023년 4월 30일에 개최된 「Rage or Silence」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추후 스탬프 이벤트의 등장에 따라 수정할 예정입니다.
스탬프 이벤트는 다른 이벤트와 달리 프레임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벤트 배수 버프가 적용된 히어로 카드를 편성하는 것으로 배수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포인트 배수는 동시개최되는 신규 오더에서 등장하는 신규 히어로만이 적용되며, 이벤트 배포 히어로에게는 포인트 배수가 없습니다. 직접적으로 히어로를 편성해야하는 대신, 4성 명함만으로도 2.5배에 가까운 점수를 벌을 수 있을 정도로 배수가 강하게 적용됩니다.
모든 배수는 히어로 편성 화면에서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트레이드 이벤트
2022년 4월「Heroes with Dirty Faces」부터 등장한 새로운 형식의 이벤트입니다. 3명 내지는 4명이 등장하던 기존 이벤트들과는 달리, 단 두 명의 히어로가 메인으로 등장하는 이벤트이며 페어 히어로와 같은 특수한 링크인 페어 링크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등장합니다.
기존의 포인트 보상 이벤트와는 달리, 보스를 클리어하면 포인트가 아니라 다양한 아이템과 교환이 가능한 4가지의 트레이드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 보상으로 3성 히어로가 없는 대신, 4성 프레임을 보상으로 제공하며 그 외의 보상도 10연 오더 티켓이나 골드 프레임 부스트 조각(4성 프레임 한계돌파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는 조각) 등을 배포하여 전체적으로 보상 면으로 강화한 느낌의 이벤트입니다. 초심자에게는 보상을 전부 얻는게 힘들 수도 있으므로, 적당히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 교환합시다!
이벤트 보스는 기존의 4가지 난이도 외에도, 하루에 1번씩만 도전 가능한 보너스 보스가 등장합니다. 보너스 보스는 EXPERT보다 조금 어렵고 EXPERT+보다는 훨씬 쉬운 난이도의 보스이며, 한번 토벌 시 EXPERT+이상의 많은 보상을 줍니다.(최소 3배 이상) 매일매일 도전하는걸 잊지 마세요!
배수 적용에 대해(트레이드 이벤트 )
트레이드 이벤트는 트레이드 아이템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아이템 획득 배수가 적용됩니다. 프레임 배수는 메인/서브 프레임를 가리지 않고 장착하기만 하면 배수가 적용됩니다.
4) 서바이브 이벤트 (데미지 챌린지)
2023년 3월 새롭게 추가된 형식의 이벤트이며, 보스의 피가 무한대로 지정되어있는 대신 정해진 턴 내로 많은 데미지를 넣는 걸 목표로 하는 이벤트입니다. 이벤트 퀘스트 맵이 따로 없으며, 하루에 최대 5번까지만 보스에 도전하는 게 가능합니다.
데미지는 1000:1 비율로 포인트로 환산되며, 난이도에 따라 추가 보너스가 붙습니다. 이벤트 난이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환산되는 포인트에 붙는 보너스 양이 늘어납니다. 즉, 높은 난이도에서 정해진 턴 내로 최대한 많은 데미지를 넣을수록 많은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높은 난이도일수록 한번에 더 많은 포인트를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난이도에 도전하는걸 추천합니다.
이벤트 보상은 하이스코어 보상 / 개인 포인트 보상 / 전체 포인트 보상 세 가지로 나뉩니다.
하이스코어 보상은 해당 이벤트에서 가장 높은 데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보상입니다.
개인 포인트 보상은 데미지를 포인트로 환산해 누적되는 포인트로 받을 수 있는 보상입니다.
전체 포인트 보상은 모든 유저들이 모은 포인트에 따라 주어지는 보상이며, 이벤트 보스를 7회 이상 도전했을 때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단체 포인트 보상에서 얻을 수 있는 서바이브 메달은 통상 4성이나 기간한정 히어로&프레임, 그 외의 아이템과 교환이 가능합니다. 서바이브 메달은 이벤트 기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으며, 다음 서바이브 이벤트에도 사용하는게 가능합니다.
이벤트 자체의 특수성 때문에 별도의 프레임 배수 없이(신규 프레임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이벤트 히어로에 버스트 배수가 붙어있어 더 많은 데미지를 낼 수 있습니다(=더 많은 포인트 획득 가능)
5) 메모리얼 이벤트 (상설화 이벤트)
2023년 3월 27일 부로 처음으로 추가된 상설 이벤트입니다. 초기 이벤트를 언제든지 달릴 수 있도록 상설화 해둔 이벤트이며, 보상으로 당시의 배포 히어로(3성)/배포 프레임(3성 4성)/이벤트 의상/사령실 가구/해당 이벤트 4성 전용 크리스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보스는 아무런 AP 소모 없이 하루에 총 5마리만 잡을 수 있으며, 난이도가 높을수록 많은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 배수가 일절 적용되지 않으므로 자신이 가진 가장 강한 덱을 편하게 들고 가면 됩니다.
(+2023.09.06 추가
상설화 한 지 오래된 이벤트들은 횟수 제한 없이 보스를 토벌하는 게 가능합니다.)
특이하게도 타임아웃(지정된 턴 이내로 토벌 실패)이나 퀘스트 실패(히어로 전멸)가 되어도 카운트는 줄어들지 않으며, 보스 도전 카운트는 보스를 무사히 토벌했을 때에만 줄어듭니다.
보통의 이벤트 보스는 매번 특정 재화가 들어가기도 하고 횟수에 제한이 없어 자신의 역량이 되는 만큼의 난이도에 도전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메모리얼 이벤트는 아무런 패널티가 없으므로 가능하면 EXPERT 난이도에 도전하는걸 추천드립니다.다만, 아무래도 덱이 아주 약하면 보스 토벌 자체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은 유연하게 조정해주세요.
2024. 07. 18 추가
오랜만에 해당 포스트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사실 완전히 완성되는건...다음 빙고 이벤트가 왔을 때... 일 것 같습니다.
이 포스트를 작성하기 시작했을 땐 3주년 무렵이었는데 벌써 4주년을 코앞에 두고 있으니 감회가 새롭네요.
정말 많이 부족한 포스트지만 지켜봐주시는 분들께 늘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해 질문 주시면 최대한 제가 아는 선에서 모두 답변해드립니다!
트위터
스핀스핀
https://spinspin.net/maidinhato
질문&리퀘박스
はと🕊님의 리퀘박스에 방문해보세요!
spinspin.net